1. 시험일정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09: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구분 | 접수기간 | 시험일정 | 합격자 발표기간 |
2025년 26회 1차 |
2025.10.13~2025.10.17 | 2025.11.22 | 2025.12.31 ~ |
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 원서접수 (클릭) : https://www.q-net.or.kr/man001.do?id=&gId=35&gSite=L
2. 시험과목 및 방법(준학예사)
구분 | 시 험 과 목 | 문항수 | 시험방법 |
공통과목 | o 박물관학 | 각 40문항 | 객관식 4지택일형 |
선택과목 | o 고고학, 미술사학, 예술학, 민속학, 서지학, 한국사, 인류학, 자연사, 과학사 문화사, 보존과학, 전시기획론,, 문학사 중 택2 [13개 과목] |
각 2문항 (총 4문항) |
논술형 |
- 정학예사(1급/2급/3급) : 박물관 · 미술관 학예사 운영위원회의 서류심사를 거쳐 문화체육관광부 명의의 자격증 부여
- 준학예사 : 준학예사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한하여 실무경력 등에 관한 박물관 · 미술관 학예사 운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문화체육관광부 명의의 자격증 부여
3. 합격기준
합 격 결 정 기 준 |
기준 이상의 외국어시험 점수를 제출하고 매 과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 과목 40점 이상과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 자를 합격자로 결정 |
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 자격증 합격을 위해 가장 중요한 과목은 박물관학과 미술관학입니다. 이 과목들은 박물관과 미술관의 운영과 관리에 필수적인 지식과 기술을 제공합니다. 박물관학은 박물관의 역사, 기능, 그리고 소장품 관리의 기초적인 이론과 실제를 다루며, 미술관학은 미술관의 특성과 예술 작품에 대한 이해, 전시 기획과 관련된 이론과 실습을 중심으로 합니다. 두 과목은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수행할 업무의 기초가 되는 이론적 바탕을 제공합니다.
또한 문화재 보존학과 미술사도 중요한 과목입니다. 문화재 보존학은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 소장품을 안전하게 보존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목으로, 소장품의 물리적 상태를 점검하고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술사는 미술 작품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깊이 이해하고, 전시나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전시 기획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관련 과목도 중요합니다. 이 과목들은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고, 관람객에게 교육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실무 능력을 배양할 수 있습니다.
4. 통계자료(최근 6년)
구 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1차 | 대상(명) | 2,049 | 1,672 | 1,257 | 1,315 | 749 | 692 |
응시(명) | 818 | 825 | 710 | 679 | 452 | 448 | |
응시율(%) | 39.92 | 49.34 | 56.48 | 636 | 60.34 | 64.73 | |
합격(명) | 306 | 214 | 166 | 264 | 167 | 226 | |
합격률(%) | 37.41 | 25.94 | 23.38 | 38.88 | 36.94 | 50.44 |
5. 수행직무
o 박물관 학예사
- 박물관에 보관중인 각종 실물, 표본, 사료(史料), 문헌들을 수집, 정리, 보존하고 전시회 개최 준비를 함
o 미술관 학예사
- 미술관의 학예사는 예술작품의 전시를 기획하는 사람으로 전시회의 주제를 결정하고 작가와 작품에 대한 조사연구를 거쳐
작가 섭외 및 작품을 선정함. 전시회의 명칭을 결정하고, 미술관의 공간과 작품수량, 주제, 효과적인 관람을
고려하여 작품 진열을 함.
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은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준학예사는 학예사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며, 전시 기획, 자료 관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합니다. 그들의 업무는 전시물의 보존과 관리뿐만 아니라 방문객들에게 문화와 예술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시 기획 및 준비: 준학예사는 전시 기획과 관련된 업무를 보조합니다. 전시물을 선정하고, 전시 공간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시 설명서를 작성하고, 전시물의 위치와 레이아웃을 계획합니다. 또한 전시와 관련된 자료들을 조사하고, 전시 목적에 맞는 내용을 연구하여 전시 자료를 보강하는 일을 합니다. 전시물의 세부사항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수 작업이나 보호 조치를 취하는 일도 포함됩니다.
자료 관리 및 보존: 박물관 및 미술관의 주요 업무 중 하나는 소장품의 보존입니다. 준학예사는 소장품의 상태 점검, 보존 관리를 지원하며, 각종 문서화 작업을 통해 작품의 유통 경로와 상태를 기록하고 관리합니다. 이들은 소장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필요한 경우 복원 작업을 진행하는 전문가들과 협력하기도 합니다. 또한 새로운 소장품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자료 조사와 수집 목록 작성을 보조하며, 자료의 기증자와 협의하는 역할도 맡을 수 있습니다.
교육 프로그램 운영: 준학예사는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어린이, 청소년, 성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워크숍, 강의, 체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며, 전시와 관련된 다양한 학술적 자료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또한, 전시와 관련된 가이드 투어를 진행하거나, 교육 자료를 작성하여 관람객들에게 보다 깊이 있는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박물관 방문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시 주제에 대해 해설을 추가하는 일도 포함됩니다.
연구 및 자료 조사: 준학예사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소장품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자료를 조사하고, 특정 작품이나 시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전시나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미술 작품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조사하거나, 특정 문화유산의 기원과 의미를 분석하여 관람객에게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학술 연구가 필요한 분야에서는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자료를 제공하거나 학술 발표를 준비하는 일도 맡을 수 있습니다.
행정 업무 및 관리: 준학예사는 행정적인 업무도 처리합니다. 전시 관련 예산을 관리하거나, 프로그램 일정 및 활동을 계획하는 데 참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람객의 피드백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향후 전시 기획에 반영하는 등의 역할도 수행합니다. 이들은 또한 외부 협력 기관과의 소통을 담당하며, 자원봉사자나 인턴 등의 관리도 하게 됩니다.
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박물관과 미술관이 문화적, 교육적 가치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예술과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그 가치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중요한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6. 시험 상세과목 정보
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 시험은 박물관학, 미술관학, 문화재 보존 등과 관련된 지식을 평가하는 필기시험과 실기 평가로 나뉩니다. 이 시험은 전시 기획, 수집 및 보존,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학예사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필기시험
필기시험은 보통 다섯 개의 주요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 박물관학/미술관학: 박물관 및 미술관의 역사, 기능, 역할, 그리고 운영 관리에 대한 이해를 평가합니다. 박물관의 기획과 운영에 관한 이론적 지식이 중요합니다.
- 문화재 보존학: 문화재 보존과 관련된 이론과 방법론을 평가합니다. 문화재의 보존, 관리, 그리고 복원 기술에 대한 이해가 요구됩니다.
- 미술사/문화사: 미술과 문화 역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대와 지역의 문화 및 미술 작품에 대한 이해를 평가합니다.
- 전시 기획 및 교육: 전시 기획의 과정, 전시물의 교육적 활용,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지식을 다룹니다. 관람객을 위한 교육적 접근과 프로그램 설계가 중요한 항목입니다.
- 기초적인 법적 지식: 박물관 및 미술관과 관련된 법률, 규제, 윤리적 기준 등을 다룹니다. 특히, 문화재 관리와 관련된 법적 기준과 기타 규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2) 실기시험
실기시험은 실제 박물관이나 미술관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시 기획, 전시물 관리나 문화재 보존 등과 관련된 실무 작업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 시험에서는 실제 업무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이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 자격증의 실기시험은 주로 전시 기획과 관련된 실무 능력을 평가합니다. 실제로 나오는 문제 유형은 전시 계획서 작성, 소장품 조사 및 전시물 관리와 관련된 과제가 포함됩니다. 실기시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출제됩니다:
- 전시 기획서 작성: 특정 주제에 맞는 전시를 기획하고 그에 대한 계획서를 작성하는 문제가 나옵니다. 주제 선정, 전시 목적, 소장품 목록, 전시 레이아웃과 디자인, 전시 일정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기획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창의성, 논리적인 전개, 전시물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소장품 조사 및 관리: 주어진 소장품에 대해 상태 점검, 보존 방법 등을 제시하는 문제입니다. 소장품의 보존 상태를 점검하고, 보수 작업이 필요한지, 어떻게 보존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야 합니다. 또한, 소장품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가 요구됩니다.
- 전시물 설명 및 교육 프로그램: 전시물을 소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문제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시물에 대한 학술적 배경을 설명하고, 관람객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능력이 평가됩니다.
실기시험을 준비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실제 전시 기획 경험을 쌓는 것입니다.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의 인턴십이나 봉사활동을 통해 실제 전시 기획과 관련된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전시 기획서 작성 연습과 소장품 관리에 대한 기본 지식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술사, 박물관학, 보존학 등을 바탕으로 전시물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실제 전시에서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해보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실기시험에서는 창의력과 함께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사고가 중요하므로, 전시 기획서 작성 시 각 항목을 잘 정리하고, 그 주제에 대한 철저한 연구와 자료 조사가 필요합니다. 시각적 자료를 활용한 전시 디자인을 구상하는 연습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7. 시험 난이도 분석
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 자격증 취득 시 가장 난이도가 높은 분야는 전시 기획과 소장품 관리 및 보존입니다. 이 두 분야는 이론과 실습을 모두 포함하고, 특히 창의성과 실무 능력, 그리고 세밀한 기술적 지식이 요구되므로 어려운 과목으로 평가됩니다.
전시 기획은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의 핵심 업무로, 전시의 주제 선정, 전시 목적 설정, 소장품 배열 및 레이아웃 설계, 전시 설명서 작성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전시 기획서는 단순한 아이디어 차원이 아닌, 관람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구성이 필요합니다. 전시 기획자는 주제를 어떻게 접근할지, 어떤 작품을 선택할지, 그리고 그 작품들이 어떻게 전시되어야 관람객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줄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또한 예산 관리와 일정 조정, 공공성과 교육적 가치를 모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순한 창의성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문제 해결 능력도 요구됩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수나 예기치 못한 상황을 관리하고 대처하는 능력이 중요한데, 이는 상상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동시에 요구되므로 어렵습니다.
소장품 관리 및 보존도 난이도가 높은 분야입니다.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 소장하는 예술 작품이나 문화재는 매우 소중하고 취급이 까다로운 것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소장품의 상태 점검, 보존 및 관리 방법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특히, 각 소장품에 대한 보존 방안을 마련하고, 필요한 경우 복원 작업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복원은 단순히 물리적인 수리가 아니라, 작품의 역사적 가치와 원래 상태를 최대한 보존하는 작업이므로 매우 고도의 기술과 신중함이 요구됩니다.
이와 함께, 자료 기록과 문서화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장품의 정확한 관리와 보존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기록이 필수적입니다. 이 기록은 작품의 유통 경로, 상태, 보존 처리 방법 등에 관한 정보를 상세히 담고 있어야 하며, 이는 작품이 손상되거나 분실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록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함께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적인 접근 방식도 필요합니다.
이 외에도, 전시물의 안전 관리와 관련된 지식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예를 들어, 작품의 운반이나 전시 공간 내 안전 조치를 마련하는 일은 고도의 세밀한 계획과 실행을 요합니다. 전시 도중 작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작업은 기술적인 노하우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무 능력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한 안전 규정을 잘 이해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전시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일도 어려운 점 중 하나입니다. 전시를 단순히 보고 즐기는 것이 아니라, 관람객들에게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전시와 관련된 교육적 요소를 잘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연령대와 배경을 가진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것은 상당히 도전적인 작업으로, 관람객의 요구를 반영하면서도 전시의 취지를 잘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박물관 및 미술관 준학예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전시 기획과 소장품 관리, 보존 분야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과 실무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 두 분야는 자격증 시험에서 중요한 난이도를 차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