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무사 시험 원서접수 및 시험정보

by dada_moment 2025. 4. 5.
반응형

 

 

1. 시험일정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09: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구분 접수기간 서류제출기간 시험일정 의견제시기간 합격자 발표기간
2025년 62회
1차
2025.03.24~2025.03.28   2025.04.26 2025.04.26
~
2025.05.02
2025.05.28
~
2025년 62회
2차
2025.06.23~2025.06.27 2025.06.16
~
2025.06.27
2025.08.02 2025.08.02
~
2025.08.08
2025.11.12
~

 

세무사 시험 원서접수 (클릭) : https://www.q-net.or.kr/man001.do?id=&gId=22&gSite=L

 

 

 

2. 시험과목 및 방법

구 분 교시 시험과목 문항수 시험시간 시험방법
1차시험 1. 재정학
2. 세법학개론(국세기본법, 국세징수법, 조세범처벌법, 소득세법, 법인세법, 부가가치세법, 국제조세조정에 관한법률)
과목 당
4 0문항
( 8 0 문항)
8 0 
( 0 9 : 3 0~1 0 : 5 0)
객 관 식
5지택일형
2 3.. 회계학개론
4.   상법 (회사편) · 민법( 총칙) · 행정소송법(  민사소송법 준용
    규정 포함 중   1
5. 영어(공인어학성적 제출로 대체)
과목 당
4 0 문항
(8 0문항)
8 0 
(11 : 20 ~ 12 : 40)
2차시험 1 1. 회계학1(재무회계, 원가관리회계)  4문항 9 0 
(0 9 : 3 0 ~ 11 : 0 0)
논 술 형
2 2. 회계학2(세무회계) 9 0 
(11 : 30 ~ 13 : 00)
3 3. 세법학1
(국세기본법, 소득세법, 법인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9 0 
(14 : 00 ~ 15 : 30)
4 4. 세법학2
(부가가치세법, 개별소비세법, 지방세법·지방세기본법·지방세징수법  및 지방세특례제한법 중 취득세·재산세 및 등록에 대한 등록면허세, 세특례제한법)
9 0 
(16 : 00 ~ 17 : 30)

 

 ※ 시험과 관련하여 법률,회계처리기준 등을 적용하여 정답을 구하여야 하는 문제는 해당 시험일 현재 시행중인 법률,기준 등을 적용하여 그 정답을 구하여야 함

 ※ 회계학 과목의 경우 한국채택국제회계준(K-IFRS)만 적용하여 출제

 

 

 

 

3. 합격기준

구 분 합 격 결 정 기 준
1차 시험 <세무사법 시행령 제8조제1항 참조> 영어과목을 제외한 나머지 과목에서 과목당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각 과목의 점수가 40점 이상이고, 전 과목 평균점수가 60점 이상인 자
2차 시험 <세무사법 시행령 제8조제2항 참조> 과목당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각 과목의 점수가 40점 이상인 사람으로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람을 합격자로 결정
1. 제2차 시험 전 과목 응시한 경우: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사람
  가. 전 과목 평균점수가 60점 이상인 사람
  나. 가목에 해당하는 사람이 최소합격인원에 미달하는 경우, 그 미달하는 범위에서 순차적으로 전 과목 평균점수가 다른 사람보다 높은 사람. 이 경우 동점자로 인하여 최소합격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그 동점자를 모두 합격자로 결정
2. 법 제5조의2제2항에 따라 제2차 시험 일부 과목을 면제받은 경우: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사람
  가. 제1호가목에 해당하는 사람이 최소합격인원 이상인 경우: 응시한 과목 전체의 평균점수가 60점 이상인 사람
  나. 제1호가목에 해당하는 사람이 최소합격인원 미만인 경우: 응시한 과목 전체의 평균점수가 다음 계산식에 따라 계산한 점수 이상인 사람. 이 경우 평균점수는 소수점 이하 둘째자리까지 계산
<계산식>
제1호나목에 따른 합격자 중 최종                 제2차 시험 전 과목 응시자의 회계학1부와 회계학2부
순위자의 제2차 시험 전 과목 평균점수  *       과목의 평균점수/제2차 시험 전 과목 응시자의 전 과목
                                                                                           평균점수

   세무사 자격시험 시행계획 공고 시 제2차 시험의 최소합격인원 공고

 

 

 

 

4. 면제 대상자

 o 1차 시험 면제

  가) 국세(관세 제외)에 관한 행정사무에 종사한 경력 10년 이상인 자

  나) 지방세에 관한 행정사무에 종사한 경력이 10년 이상인 자로서 5급 이상 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5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다) 지방세에 관한 행정사무에 종사한 경력이 20년 이상인 자

  라) 대위이상의 재정병과 장교로서 10년 이상 군의 재정업무를 담당한 경력이 있는 자

 

 o 1차 시험 및 제2차 시험 일부과목(세법학1부 및 세법학2) 면제

  ) 국세(관세 제외)에 관한 행정사무에 종사한 경력이 10년 이상인 자로서 5급 이상 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5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 국세(관세 제외)에 관한 행정사무에 종사한 경력이 20년 이상인 자

 

     ※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위의 각 호의 시험의 일부면제를 적용하지 아니함(세무사법 제5조의23)

      - 2006. 3. 24. 이후 탄핵이나 징계처분에 따라 그 직에서 파면되거나 해임된 자

      - 2018. 1. 1. 이후 강등 또는 정직처분을 받은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o 전년도 1차 합격에 의한 면제자

   1차 시험에 합격한 자는 다음 회의 시험에서만 제1차 시험을 면제함

 

 

 

5. 수행직무

세무사는 납세자 등의 위임을 받아 다음 각 호의 행위 또는 업무(이하 세무대리라 한다)를 수행하는 것을 직무로 함

 

1. 조세에 관한 신고·신청·청구(과세전적부심사청구, 이의신청, 심사청구 및 심판청구를 포함한다)등의 대리

   (개발이익환수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개발부담금에 대한 행정심판청구의 대리를 포함한다)

2. 세무조정계산서와 그 밖의 세무 관련 서류의 작성

3. 조세에 관한 신고를 위한 장부 작성의 대행

4. 조세에 관한 상담 또는 자문

5. 세무관서의 조사 또는 처분 등과 관련된 납세자 의견진술의 대리

6.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개별공시지가 및 단독주택가격·공동주택가격의 공시에 관한 이의신청의 대리

7. 해당 세무사가 작성한 조세에 관한 신고서류의 확인. 다만, 신고서류를 납세자가 직접 작성하였거나 신고서류를

   작성한 세무사가 휴업하거나 폐업하여 이를 확인할 수 없으면 그 납세자의 세무 조정이나 장부작성의 대행 또는

   자문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세무사가 확인할 수 있다.

8. 「소득세법에 따른 성실신고에 관한 확인

9. 그 밖에 제1호부터 제8호까지의 업무에 딸린 업무

 

 

6. 통계자료(최근 5)

구 분 2020 2021 2022 2023 2024
1 대상 11,672 12,494 14,708 16,817 22,455
응시 9,506 10,348 12,536 13,768 18,842
응시율(%) 81.4% 82.8% 85.2% 81.8% 83.9%
합격 3,221 1,722 4,678 2,164 3,233
합격률(%) 33.9% 16.6% 37.3% 15.7% 17.1%
2 대상 6,761 5,806 7,479 7,562 5,911
응시 5,378 4,597 6,120 6,317 5,437
응시율(%) 79.5% 79.2% 81.8% 83.5%  91.9%
합격 710 781 712 719  715
합격률(%) 13.2% 17.0% 11.6% 11.3%  13.1%

 

 

 

 

 

7.  세무사 시험 난이도

세무사 시험은 크게 1차2차로 나뉘며, 각 단계마다 요구되는 학습 범위시험의 난이도가 다릅니다.

1) 1차 시험 (객관식)

  • 과목:
    • 세법 (국세기본법, 소득세법, 부가가치세법 등)
    • 회계학: 기업회계와 세무회계 관련 기본적인 이론
    • 세무회계: 세법과 회계를 연계하여 실제 세무 업무에 적용하는 능력
    • 경제학: 경제 전반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 세무법규: 세법 관련 기본 법규
    • 법학: 계약법, 상법 등 기본 법학 지식

1차 시험은 객관식 문제로 출제되며, 세법과 회계학을 중심으로 출제됩니다. 이 시험은 기본적인 세법 지식을 다루고, 경제학, 법학 등 여러 과목이 포함되므로 상당히 광범위한 학습이 필요합니다.

2) 2차 시험 (주관식)

  • 과목:
    • 세법 (국세기본법, 소득세법, 부가가치세법 등 심화 내용)
    • 세무회계: 세무와 회계에 대한 심화 내용
    • 세무사법: 세무사로서의 법적 책임과 의무

2차 시험은 주관식 문제로, 세법세무회계 관련 심화 지식을 요구합니다. 1차에서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했다면, 2차 시험에서는 실제 세무 업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풀어야 하므로 고도의 문제 해결 능력정확한 이론 적용 능력이 필요합니다.

 

3) 세무사 시험의 어려운 점

세무사 시험은 다양한 과목이 복합적으로 출제되기 때문에, 한 과목이라도 약점을 가지면 전체적인 합격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또한, 시험의 실제 난이도는 과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세무사 시험은 국가공인시험 중에서 가장 어려운 시험 중 하나로 꼽힙니다.

1차 시험 난이도:

1차 시험은 상대적으로 기본적인 세법과 회계학 지식을 다루지만, 세법의 내용이 매우 방대하고 세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기억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특히 부가가치세법, 소득세법 등은 세무 전문가로서의 실무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과목이기 때문에, 공부량이 상당히 많고 단기간에 습득하기 어려운 내용들이 많습니다.

2차 시험 난이도:

2차 시험은 주관식 문제로 출제되며,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론을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특히 세법의 심화적인 부분을 다루고, 실제 세무 업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하여 문제를 풀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무적인 응용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정확하고 신속한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한데, 이는 오랜 기간의 학습실제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연습을 통해 배양됩니다.

 

4) 세무사 시험 준비의 어려움과 사례

세무사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준비와 긴 학습 기간이 필요합니다. 합격한 사람들의 사례를 통해, 준비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1: A씨 (4년 준비)

A씨는 대학 졸업 후 세무사 자격증을 목표로 준비한 사람입니다. 처음에는 1차 시험을 준비하면서 세법의 방대함에 압도당했지만, 점차 기본서기출문제를 반복하며 체계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1차 시험에서는 기본적인 세법을 빠짐없이 학습한 덕분에 합격할 수 있었고, 이후 2차 시험 준비를 위해 실제 세무 업무와 관련된 문제를 풀어보며 실무 감각을 익혔습니다. 결과적으로 A씨는 4년 만에 세무사 시험에 합격했습니다.

  • 학습 전략: 기초부터 탄탄히 다지기, 기출문제 풀이, 실제 세무 사례 연습.

사례 2: B씨 (2년 준비)

B씨는 세무사 시험 준비를 시작한 지 2년 만에 합격한 사람으로, 학습을 보다 집중적으로 하였고, 직장 생활을 병행하며 준비했습니다. 1차 시험에서는 시간 관리와 효율적인 학습법을 통해 세법의 중요한 부분을 우선순위로 공부하여 빠르게 합격한 후, 2차 시험 준비에는 세무회계와 심화 세법을 집중적으로 학습했습니다. 특히 B씨는 모의고사와 세무사 시험 기출 문제를 꾸준히 풀어보면서 실전 연습을 많이 했습니다. 그 덕분에 2차 시험에서 실전 감각을 높이며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 학습 전략: 우선순위에 따른 효율적 학습, 모의고사 및 기출문제 풀이, 시간 관리.

 

 

세무사 시험은 시험 과목의 범위가 방대하고, 실무 능력을 요구하는 고난이도 시험입니다. 합격률은 낮고,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합격을 위해서는 기본 이론을 확실히 다진 후, 실제 세무 업무와 관련된 문제를 풀어보며 실전 감각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4년 이상 준비한 사람도 있고, 2년 내 합격한 사람도 있으므로, 각자의 학습 속도와 전략에 맞는 계획을 세워 꾸준히 준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