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응시자격
자격종목 | 등급 | 종류 | 응시자격 |
바리스타 | 2급 | 필기 | 없음 |
실기 | 바리스타 2급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 | ||
1급 | 필기 | 바리스타 2급 자격증 취득자 | |
실기 | 바리스타 1급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 |
한국커피협회 시험접수(클릭) : https://www.kca-coffee.org/cms/FrCon/index.do?MENU_ID=640
1) 바리스타 1급 검정시험료
2) 바리스타 2급 검정시험료
2. 전형구분
자격종목 | 등급 | 종류 | 구분 | 전형방법 |
바리스타 | 2급 | 필기 | 일반전형 |
|
특별전형 (무시험 검정) |
|
|||
바리스타3급전형 (무시험 검정) |
|
|||
실기 | 일반전형 |
|
||
1급 | 필기 | 일반전형 |
|
|
특별전형 (무시험검정) |
|
|||
실기 | 일반전형 |
|
바리스타 자격증 전형 중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실기 시험입니다. 특히 에스프레소 추출과 우유 거품 만들기가 많은 수험생들에게 도전적일 수 있습니다.
- 에스프레소 추출: 에스프레소는 커피의 핵심이기 때문에, 정확한 추출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원두의 분쇄도, 분쇄량, 탬핑(커피 원두 압축), 추출 시간 등을 잘 맞춰야 해요. 커피 추출 기계의 조작에 능숙해야 하며, 미세한 오차가 맛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완벽히 맞추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 우유 거품 만들기: 라떼나 카푸치노 같은 음료에서 중요한 부분이 바로 우유 거품입니다. 우유의 온도와 거품의 질감을 정확하게 맞추는 기술이 요구됩니다. 우유를 너무 뜨겁게 데우면 맛이 변하고, 거품이 제대로 올라가지 않으면 음료의 품질이 떨어지죠. 또한, 이 과정에서 너무 긴장하거나 서두르면 실수하기 쉽기 때문에, 냉정하게 실수를 줄여야 해요.
- 시간 제한: 대부분의 바리스타 자격증 실기 시험은 시간 내에 여러 가지 작업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관리 능력도 중요합니다. 여러 음료를 빠르게 정확하게 만드는 동시에, 고객 응대도 신경 써야 합니다. 실수 없이 빠르게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죠.
- 맛의 균형: 커피의 맛을 어떻게 조정할지 아는 것도 큰 도전입니다. 추출된 커피의 맛을 보고, 이를 어떻게 보완할지 알아야 하는데, 이는 많은 경험을 통해서만 익힐 수 있습니다.
3. 평가방법
자격종목 | 등급 | 종류 | 출제범위 및 평가방법 |
바리스타 | 2급 | 필기 |
|
실기 |
|
||
1급 | 필기 |
|
|
실기 |
|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점은 실기 능력과 이론 지식을 고루 갖추는 것입니다.
- 커피의 기초 지식: 커피 원두의 종류, 추출 방법, 로스팅(볶기) 정도 등 기본적인 이론 지식이 중요합니다. 커피의 맛을 결정짓는 여러 요소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있어야 해요.
- 에스프레소 추출: 바리스타 자격증에서 가장 중요한 실기 부분 중 하나는 에스프레소를 정확하게 추출하는 것입니다. 커피 기계의 사용법, 그라인딩(분쇄도), 추출 시간 등을 잘 조절해야 해요.
- 우유 거품 만들기: 라떼, 카푸치노 같은 음료에서 중요한 부분이 바로 우유의 거품입니다. 우유의 온도와 거품을 만드는 기술이 필요하죠.
- 정확한 커피 추출과 맛의 조화: 커피의 맛을 평가하고, 어떤 방법으로 맛을 조정할 수 있을지 아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커피의 밸런스와 질감을 맞추는 능력이 중요하죠.
- 서비스 마인드: 바리스타는 손님과의 소통과 서비스가 중요한 직업입니다. 커피뿐만 아니라 고객의 요구에 맞춘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해요.
- 실습과 반복: 자격증 준비 과정에서 실습이 정말 중요합니다. 다양한 커피를 직접 만들어 보고, 자신만의 기술을 계속해서 연습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4. 실격사유
자격종목 | 등급 | 종류 | 만점 | 합격기준 | 실격사유 |
바리스타 | (공통) | 필기 | 100점 | 60점 이상 | |
실기 | 100점 (기술60점) (감각40점) |
60점 이상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