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인중개사 시험일정, 접수방법, 합격률, 시험과목 및 배점방법 정리

by dada_moment 2025. 4. 3.
반응형

 

 

 

 

1. 2025년 제 36회 공인중개사

구분 기간
1차 접수 2025.08.04.(월) ~ 2025.08.08.(금)
1차 시험 2025.10.25.(토)
1차 합격자발표 2025.11.26.(수)
2차 접수 2025.08.04.(월) ~ 2025.08.08.(금)
2차 시험 2025.10.25.(토)
2차 합격자발표 2025.11.26.(수) ~ 2026.01.24.(토)

 

 

2. 원서접수 방법 

 

공인중개사 시험 원서접수 (클릭) : https://www.q-net.or.kr/man001.do?gSite=L&gId=08

 

 

 

3. 응시자격

제한 없음

 ※ 단, ① 공인중개사법 제43에 따라 시험부정행위로 처분 받은 날로부터 시험시행일 전일까지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자

 ②  제6조에 따라 자격이 취소된 후 3년이 경과하지 않은 자

 ③ 시행규칙 제2조에 따른 기자격취득자는 응시할 수 없음

 ※ 공인중개사 등록을 위한 결격사유는 별도로 정하고 있으며, 담당기관(관할 시,군,구)으로 문의 

 

4. 시험과목 및 배점 

구 분 시험 과목 문항수 시험시간 시험방법
제1차시험
1교시
(2과목)
1. 부동산학개론(부동산감정평가론 포함)
2. 민법 및 민사특별법 중 부동산 중개에 관련되는 규정
과목당
40문항
(1번~80번)
100분
(09:30 ~ 11:10)
객관식
5지선택형
제2차시험
1교시
(2과목)
1.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령 및  중개실무
2. 부동산공법 중 부동산중개에 관련되는 규정
과목당
40문항
(1번~80번)
100분
(13:00 ~ 14:40)
제2차시험
2교시
(1과목)
1. 부동산공시에 관한 법령(부동산등기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및 부동산 관련 세법 40문항
(1번~40번)
50
(15:30 ~ 16:20)

 

 

 

 

 

 

 

 

 

  1. 1) 광범위한 범위와 세부 규정
  • 민법은 사람, 재산, 계약 등 다양한 분야에 관한 법적 규정을 다룹니다. 공인중개사 시험에서는 민법의 기초부터 고급 내용까지 광범위하게 출제됩니다. 특히 민법 총칙, 물권법, 계약법, 그리고 부동산 관련 민사법 등이 포함되어 있어, 한 가지 주제에 집중하기보다는 여러 법률을 함께 이해해야 하는 부담이 큽니다.
  • 이 외에도 민사특별법(예: 부동산 등기법, 채권법 등)도 민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복잡한 법적 조문을 암기하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1. 2) 이해보다는 암기 위주의 시험
  • 민법은 조문 암기가 중요한 과목입니다. 법령은 자주 바뀌지 않지만, 각 조문의 정확한 해석과 적용을 암기해야 하므로, 법적인 용어나 판례, 조문 등을 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부분이 많은 수험생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 또한, 각 법적 규정의 세부적인 내용이나 예외 조항들이 많기 때문에, 이를 꼼꼼하게 구분하고 암기해야 하는 점이 쉽지 않습니다.
  1. 3) 문제 풀이와 해석
  • 민법 및 민사특별법 문제는 단순히 조문을 암기하는 것뿐만 아니라 법리적 사고판례 적용 능력도 요구됩니다. 특히 주관식 문제가 아닌 객관식 문제에서 세부적인 사항까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정확히 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 실제 시험에서 출제되는 문제들은 법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단순한 기억력이 아니라 법적인 사고력문제 해결 능력이 동시에 필요합니다.
  1. 4)빈출 개념과 예외 규정
  • 민법에서 자주 출제되는 계약의 성립, 계약 해지, 채권자와 채무자 관계 등과 관련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예외 규정들을 명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특히 부동산 거래와 관련된 법적 규정은 실제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실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도 합니다.
  • 이런 내용들을 명확히 이해하고 구별하는 것이 상당히 까다로워 수험생들에게 어려움을 주는 부분입니다.
  1. 5) 반복적인 학습 필요
  • 민법은 실수 없이 암기하고 이해해야 하는 과목이라 반복적인 학습이 필요합니다. 많은 양의 내용을 계속해서 복습하고, 개념을 정확히 구분해 나가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됩니다.

 

 

5. 통계자료 

구 분 2020 2021 2022 2023 2024
1 대상(명) 213,936 247,880 238,694 179,727 132,823
응시(명) 151,674 186,278 176,016 134,354 98,483
응시율(%) 70.9 75.2 73.7 74.8 74.1
합격(명) 32,368 39,776 34,746 27,459 14,850
합격률(%) 21.3 21.4 19.7 20.4 15.0
2 대상(명) 129,075 152,041 149,016 108,020 80,533
응시(명) 75,214 92,569 88,378 65,705 49,521
응시율(%) 58.3 60.9 59.3 60.8 61.4
합격(명) 16,555 26,915 27,916 15,157 15,301
합격률(%) 22.0 29.1 31.6 23.1 30.0

 

6. 응시수수료

1: 13,700

2: 14,300

1, 2차 동시 응시자: 28,000

 

 

7. 취득방법

원서접수방법: 큐넷 홈페이지 및 모바일 큐넷 앱을 통해 접수

    ※ 내방시 준비물사진(3.5*4.5) 1전자결재 수단(신용카드계좌이체가상계좌, 간편결제, 퀵계좌이체)

     ※ 수험자는 응시원서에 반드시 본인 사진을 첨부하여야 하며타인의 사진 첨부 등으로 인하여 신분확인이 불가능할 경우

        시험에 응시할 수 없음

 

자격증발급응시원서접수일 현재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시도지사명의로 시도지사가 교부

  (사진(여권용 사진) 3.5*4.5cm 2신분증도장 지참, 시·도별로 준비물이 다를 수 있음)

 

 

8. 자격증 취득시 가장 어려운점 

  1. 1. 방대한 학습 범위와 시간 부족
  • 공인중개사 시험은 총 5과목(민법, 부동산학개론, 공인중개사법, 부동산공법, 세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과목마다 범위가 넓고, 그 내용을 충분히 소화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수험생들이 각 과목을 고르게 학습하는 것이 어려워 특정 과목에 치우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균형을 맞추기 어렵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 특히 직장인들이나 바쁜 일정을 가진 사람들은 시간 관리가 어려워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1. 2. 민법의 어려움
  • 민법 및 민사특별법은 공인중개사 시험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과목으로 꼽힙니다. 특히 민법은 법률 용어가 복잡하고, 법률 조문을 암기하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많습니다. 문제의 유형도 단순한 기억을 넘어서 법리적 사고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수험생들이 민법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민법은 공인중개사의 실무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암기이해가 동시에 요구되어 난이도가 높습니다.
  1. 3. 부동산학개론의 계산 문제
  • 부동산학개론에서는 부동산 관련 계산 문제가 출제됩니다. 예를 들어, 토지이용계획, 감정평가, 세금 계산 등이 있는데, 이 부분에서 수험생들이 특히 어려움을 겪습니다. 수학적 사고와 정확한 계산 능력이 필요하고, 문제의 유형에 익숙해지지 않으면 시간을 낭비하거나 실수할 위험이 큽니다.
  • 부동산학개론의 계산문제는 암기보다 실전 연습이 중요한데, 이를 충분히 연습하지 못한 수험생들이 어려움을 많이 느낍니다.
  1. 4. 법령의 개정과 변동
  • 공인중개사 시험에서는 법령과 규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법령이 자주 개정되거나 새로운 규정이 추가될 수 있기 때문에, 최신 법령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입니다. 법령의 변화새로운 판례가 출제될 때 이를 빠르게 반영하지 않으면 시험 준비가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 이에 따라 최신 개정 사항을 적시에 학습하는 것이 중요한데, 많은 수험생들이 이 점에서 부족함을 느끼며 떨어지기도 합니다.
  1. 5. 시험의 유형과 전략 부족
  • 공인중개사 시험은 객관식 문제가 대부분이지만, 문제의 난이도가 높고 세부적인 부분까지 물어봅니다. 수험생들이 문제를 푸는 전략을 제대로 세우지 못하고 시험에 임하면, 시간 부족이나 실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많은 수험생들이 기출문제 분석이나 모의고사를 충분히 연습하지 않아서 실제 시험에서 실수를 하거나 불필요한 시간 소모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